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마이봄샘 기능 장애란 무엇인가? 원인과 치료 방법

by Exitoway 2025. 4. 16.

마이봄샘 기능 장애란 무엇인가? 원인과 치료 방법

Contents

    1. 마이봄샘 기능 장애란?

    마이봄샘(Meibomian gland)은 눈꺼풀 가장자리에 위치한 피지샘의 일종입니다. 위 눈꺼풀에 약 25개, 아래 눈꺼풀에 약 50개가 존재하며, 눈물막의 가장 바깥층인 지방층을 구성하는 기름 성분(마이봄)을 분비합니다.

    마이봄샘 기능 장애(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는 눈꺼풀 안쪽에 위치한 지방샘(마이봄샘)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막히는 질환입니다. 이 샘은 눈물의 지방층을 형성해 눈물이 빠르게 증발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이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안구건조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2. 주요 증상

    • 눈이 뻑뻑하고 따가움
    • 이물감 또는 모래가 들어간 느낌
    • 시야가 흐릿해지는 현상
    • 과도한 눈물 흘림
    • 눈꺼풀 염증 및 충혈

    이러한 증상은 특히 스마트폰, 컴퓨터 사용 시간이 많은 현대인에게서 자주 나타나며, 자칫하면 만성 안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원인은 무엇인가요??

    마이봄샘 기능 장애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 노화: 나이가 들수록 마이봄샘의 기능이 저하됩니다.
    • 디지털 기기 사용: 깜빡임 횟수가 줄어들면서 눈물막이 쉽게 마릅니다.
    • 기름진 음식 과다 섭취: 피지선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호르몬 변화: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기 이후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 콘택트렌즈 장기 착용: 눈꺼풀과의 마찰로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4. 해외 안과 사이트 참고 영상

    제가 요즘 마이봄샘 기능장애로 눈이 뻑뻑하고 안구건조증에 시달리고 있어서 안과에서 마이봄샘 청소를 하고 온지 일주일 정도 됩니다. 매번 안과에 가서 진료를 받기에도 살짝 부담스러운게 사실인데요. 그래서 집에서도 마이봄샘 관리를 하면서 안구건조증 증상을 완화 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찾아보고 있는 중입니다. 그러다가 해외 사이트를 하나 찾았는데 마이봄샘 기능장애에 대해 잘 나온 영상이 있어서 참고 하시면 좋을 것 같아서 올려봅니다. 영어로 된 영상이라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본을 함께 올려두었습니다. 

     

    (참고영상 1번) What is Meibomian Gland Dysfunction? - 마이봄샘 기능 장애란 무엇인가요?

     

    Meibomian Gland Dysfunction: Overview

    Watch the video to learn more.

    share.rendia.com

    출처는 https://www.moyeseye.com/about-meibomian-gland-dysfunction 입니다. 

     

    (영상 내용 원문) 

    Healthy tears consist of a precise mixture of oil, water and mucus. 
    Meibomian gland dysfunction, also called MGD, is a condition where the meibomian glands, 

    do not produce the proper quality or quantity of oil in the outer layer of the tear flim. 
    In normal tears, the layer of oil produced by the meibomian glands seals the tear film, and helps prevent tear from evaporating too quickly.
    In MGD, the glands become blocked, and do not produce normal oil, due to inflammation. 
    Inflammation can be related to problems of the lid, contact lenses, hormones, or even incomplete or infrequent blinking.
    When the glands do not produce enough quality oil, tears evaporate more quickly than normal, resulting in dry eye 

    syndrome. MGD is the leading cause of dry eye. 
    While MGD is not generally sight-threatening, it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quality of life if left untreated.
    Symtoms of MGD can include dryness, scratchiness, a burning sensation, and even problems with visual acuity. 
    MGD can also lead to chalazia, and infention of the lid margins, which can be painful and unsightly for patients. 
    Lastly, for patients who wear contact lenses, MGD can make wearing lenses very difficult. MGD does not usually 

    go away on its own, and requires treatment and follow up examination by an eye care professional. 

     

    (번역본)

    건강한 눈물은 기름, 물, 점액이 정확한 비율로 혼합되어 있습니다. 

    마이봄샘 기능 장애(MGD)는 마이봄샘이 눈물막의 가장 바깥층에 필요한 적절한 품질 또는 양의 기름을 생산하지 못하는 질환입니다. 정상적인 눈물에서는 마이봄샘에서 생성된 기름층이 눈물막을 밀봉하여 눈물이 너무 빨리 증발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MGD의 경우 염증으로 인해 마이봄샘이 막히고 정상적인 기름을 생산하지 못합니다. 

    염증은 눈꺼풀 문제, 콘택트 렌즈 사용, 호르몬, 또는 불완전하거나 드문 깜박임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마이봄샘이 충분한 양질의 기름을 생산하지 못하면 눈물이 정상보다 빠르게 증발하여 안구건조증을 유발합니다.

    MGD는 안구건조증의 주요 원인입니다. MGD는 일반적으로 시력에 위협적이지는 않지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MGD의 증상으로는 건조함, 까끌거림, 작열감, 심지어 시력 저하 등이 있습니다.

    또한 MGD는 환자에게 고통스럽고 보기 흉할 수 있는 콩다래끼(chalazia) 및 눈꺼풀 가장자리의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는 환자의 경우 MGD로 인해 렌즈 착용이 매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MGD는 일반적으로 자연적으로 사라지지 않으며 안과 전문가의 치료와 추적 검사가 필요합니다. 


    (참고 영상 2번) What is Meibomian Gland Dysfunction? - 마이봄샘 기능 장애란 무엇인가요?

     

    TearScience - The Meibomian Glands and LipiFlow

    Watch the video to learn more.

    share.rendia.com

    출처는 https://www.moyeseye.com/about-meibomian-gland-dysfunction 입니다. 

     

    (영상 내용 원문) 

    The primary components of tears, mucin, aqueous, and liquid combine to create a complex viscoelastic structure. 
    This complex structure is responsible for a multitude of important functions. Lipids prevent evaporation, lubricate and stabilize the tears. Meibomian glands at the margins of the upper and lower lids produce and inject complex oil into the tears with each blink. This thin layer of oil prevents tears from evaporating and increases lubrication and comfort. 
    Additionally the phospholipids found in this oil stabilize the tear layer and improve cohesiveness. 
    In a healthy eye, tear production is carefully balanced and controlled. Excessive evaproation of tears can stimulate over production of the aqueous component. 
    This chronic overproduction of aqueous may be linked to eventual inflammation of the lacrimal gland. 
    The symtoms of dry eye can include feelings of dryness, grittiness, burning, ocular tireness and discomfort.
    The oil produced by the meibomian glands becomes increasingly cloudy and thickens further to a paste-like consistency. On manual expression these properties as well as plugging of gland orifices may be evident. 
    As the condition worsens, eyelids display signs of inflammation and dilated blood vessels. With dry eye, sensitivity to environmental factors like wind, temperature and humidity increases. 

    Interference with normal vision may become noticeable. 
    Often the individual considers it part of the normal aging process, when in fact dry eye can have significant impact causing loss of productivity and poorer quality of life. 
    One of the most common treatments for meibomian gland dysfunction and associated dry eye is at-home warm compress theraphy. This approach had limited clinical effectiveness. 
    Heat is wicked away by blood vessels in the eyelids limiting the amount of heat reaching the meibomian glands. 
    Bryond the lack of effectiveness and the onerous routine for the patient, use of warm compresses can introduce excessive pressure on the globe. The LipiFlow system uses heat and pressure to clear blocked meibomian glands. 
    By applying heat directly to the glands on the inner eyelid surface, heat rapidly and efficiently raises gland contents liquefying any blockga making it easier to remove from the gland. Gentle pressure is applied from outside the lid from the base of the gland to the gland opening, removing blockage and flushing dead cells from the gland. 
    during this process, stagnant gland tissue may be removed from the glands. Maintaining normal meibomian gland health and function is critical to the long term maintenance of ocular surface health and good vision. 

     

    (번역본)

    눈물의 구성 요소, 기능, 건성안, 그리고 치료법
    눈물의 주요 구성 요소인 뮤신, 수성액, 지질은 결합하여 복잡한 점탄성 구조를 형성합니다. 이 복잡한 구조는 다양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합니다. 지질은 증발을 막고, 윤활 작용을 하며, 눈물을 안정화합니다. 위아래 눈꺼풀 가장자리에 있는 마이봄샘은 눈을 깜빡일 때마다 복잡한 오일을 눈물에 분비합니다. 이 얇은 오일층은 눈물이 증발하는 것을 막고 윤활 작용과 편안함을 증가시킵니다. 또한, 이 오일에 함유된 인지질은 눈물층을 안정화하고 응집력을 향상시킵니다.

    건강한 눈에서는 눈물 생성이 세심하게 균형을 이루고 조절됩니다. 눈물의 과도한 증발은 수성 성분의 과잉 생산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만성적인 수성 과잉 생산은 결국 눈물샘의 염증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건성안의 증상으로는 건조함, 이물감, 화끈거림, 눈의 피로 및 불편함 등이 있습니다. 마이봄샘에서 생성되는 오일은 점점 더 흐려지고 걸쭉해져 페이스트와 같은 농도로 변합니다. 수동으로 짜보면 이러한 특성과 함께 샘 구멍이 막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태가 악화되면 눈꺼풀에 염증과 확장된 혈관이 나타납니다. 건성안이 있는 경우 바람, 온도 및 습도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합니다. 정상적인 시력에 방해가 될 수도 있습니다.

    종종 사람들은 이를 정상적인 노화 과정의 일부로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건성안은 생산성 감소와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마이봄샘 기능 장애 및 관련 건성안에 대한 가장 흔한 치료법 중 하나는 가정에서 하는 온찜질 요법입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임상적 효과가 제한적입니다. 열은 눈꺼풀의 혈관을 통해 빠져나가 마이봄샘에 도달하는 열의 양을 제한합니다.

    효과가 부족하고 환자에게 번거로운 일상이라는 점 외에도 온찜질을 사용하면 안구에 과도한 압력을 가할 수 있습니다. LipiFlow 시스템은 열과 압력을 사용하여 막힌 마이봄샘을 뚫어줍니다.

    눈꺼풀 안쪽 표면의 샘에 직접 열을 가하면 열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샘 내용물을 녹여 막힘을 제거하기 쉽게 만듭니다. 부드러운 압력을 눈꺼풀 바깥쪽에서 샘 바닥에서 샘 구멍까지 가하여 막힘을 제거하고 죽은 세포를 샘에서 씻어냅니다.

    이 과정에서 정체된 샘 조직이 샘에서 제거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마이봄샘 건강과 기능을 유지하는 것은 안구 표면 건강과 좋은 시력을 장기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5. <EBS 귀하신 몸 44화 눈이 아프고 뻑뻑하고 침침하다면?> 방송편

    출처는 EBS 귀하신 몸 44화 


    6. 진단과 치료 방법

    마이봄샘 기능 장애는 안과에서 눈꺼풀 검사 및 마이봄샘 촬영을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진단 후에는 증상 정도에 따라 다양한 치료법이 적용됩니다.

    6-1. 온찜질 및 눈꺼풀 마사지

    막힌 기름샘을 녹이고 배출을 돕는 가장 기본적인 치료법입니다.

    6-2. 인공눈물 및 항염증 약물

    눈물막을 안정화하고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6-3. 마이봄샘 청소(리피플로우 등), 마이봄샘 짜기

    전문 장비를 이용해 막힌 샘을 열어주는 시술로, 최근 효과가 입증되고 있습니다. 

    저도 안과에서 리피플로우를 추천받았어서 다음 방문 때는 리피플로우 치료를 받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래도 그 치료에만 의존하기 보다는 집에서도 눈세정제를 이용해 마이봄샘  자가 관리를 하는 방법도 함께 병행할 생각입니다. 

    6-4. 생활 습관 개선

    눈 화장 줄이기(깨끗한 세안은 필수), 적절한 수분 섭취, 충분한 수면 등이 도움이 됩니다.


    7. 예방은 가능할까요?

    완전한 예방은 어렵지만, 아래와 같은 습관을 유지하면 눈 건강을 지키고 마이봄샘 기능 장애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스마트폰이나 모니터 사용 시 20분마다 눈을 쉬게 하기
    • 눈가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 온찜질을 꾸준히 하기
    • 오메가-3 지방산 등 눈 건강에 좋은 영양소 섭취

    8. 결론

    마이봄샘 기능 장애는 단순한 눈의 피로 증상이 아닌, 만성 안구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정기적인 안과 검진과 생활 습관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눈은 우리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만큼, 일상 속 작은 실천으로 눈 건강을 지켜보세요. 


    안구 기름샘 집에서 청소하는 방법도 올렸으니 참고하세요. 

     

    안구 기름샘(마이봄샘)이란? 역할 및 안구 기름샘(마이봄샘) 청소법 총정리

    Contents안구 기름샘(마이봄샘)이란? 역할 및 안구 기름샘(마이봄샘) 청소법 총정리1. 마이봄샘(안구 기름샘)이란? 👀 우리 눈에는 '마이봄샘(Meibomian Glands)'이라는 기름샘이 존재합니다.마이봄샘

    exitoway.com